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소득조건 적용금리 등 모든 것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. 이번 글 하나로 모두가 쉽게 신청할 수 있도록 총정리할테니 집중해서 읽어주기 바란다.
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사회초년생 때부터 종자돈을 착실히 모아두어야 나중에 자산을 불릴 때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.
그러나 현재는 물가급등과 함께 대출금리의 상승으로 인해서 월급이 가뜩이나 적은 사회초년생들이 자산을 모으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.
이런 청년들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한 정부 정책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가 6월에 출시를 앞두고 있다.
청년도약계좌 란?
청년도약계좌는 한 마디로 청년이 사회에서 자산을 쌓아 ‘도약’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정책으로 매 월 70만 원씩 일정 기간을 저축하면 정부가 도와서 5천만 원이라는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청년자산형성지원사업이다.
5년 동안 청년이 70만 원을 납입해서 원금 4,200만 원을 만들면 거기에 정부에서 지급하는 기여금과 이자를 포함해서 총 5천만 원이라는 큰 돈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.
❤️예산 3,700억 확보한 서민금융진흥원 바로가기❤️
가입대상
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. 아래의 조건 중 하나가 아니라 아래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정말 혜택이 필요한 계층에게만 지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.
-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
- 개인 연 소득 7,500만 원 이하
- 중위소득 180% 이하
❤️2023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 확인 바로가기❤️
소득조건
위의 가입대상 중에서 소득조건이 아마 가장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. 내가 받는 월급으로는 가입이 가능한지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자.
- 개인 1년 총 소득 7,500만 원 이하이면서 중위소득 180% 이하
- 1인 기준 세전 금액 월 373만 8,600원 = 연봉 약 4,500만 원이면 중위소득 180%
- 2인 기준 세전 금액 월 622만 원 = 연봉 약 7,400만 원이면 중위소득 180%
쉽게 말해, 1인 가구라면 내가 받는 세전 월급이 373만 원을 초과한다면 사실상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.
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럴거면 왜 굳이 1년 총 소득 7,500만 원이라는 기준을 만들었는지 이해를 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.
적용금리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자산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으로 3년까지 고정금리를 적용하며, 나머지 2년 동안은 변동금리를 적용한다고 한다.
적어도 7%에서 많게는 8% 이상의 금리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취급기관별로 조금씩 상이한 금리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리 큰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.
게다가 연 소득이 2,4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금리 우대도 별도로 해준다고 하니 가입만 가능하다면 무조건 가입해서 돈을 넣어두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라고 할 수 있겠다.
청년도약계좌 소득에 따른 정부기여금
아마 이 부분이 가장 논란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. 정부기여금은 정부에서 매 달 청년의 계좌에 적립을 해주는 것으로 개인의 소득에 따라서 정부의 기여금이 달라진다.
가장 혜택을 많이 보는 소득 구간은 총 급여액이 2,400만 원 이하인 저소득층으로 월 40만 원의 한도에서 6%까지 기여금을 매칭해서 최대 월 24,000원을 보조해준다.
나머지 소득구간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면 구간에 따라 기여금 지급한도 및 매칭비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.
개인소득 | 기여금 월 지급한도 | 기여금 매칭 비율 | 기여금 월 지급 한도 |
2,400만 원 이하 | 40만 원 | 6% | 24,000원 |
3,600만 원 이하 | 50만 원 | 4.6% | 23,000원 |
4,800만 원 이하 | 60만 원 | 3.7% | 22,000원 |
6,000만 원 이하 | 70만 원 | 3% | 21,000원 |
7,500만 원 이하 | 없음 | 없음 | 없음 |
개인소득이 올라갈수록 정부에서 매 월 지급하는 기여금 한도액이 적어지며 총 급여가 6,000만 원을 초과하는 사람부터 7,500만 원 이하의 사람은 정부기여금 혜택은 아예 받을 수 없다.
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차이
기존의 많은 청년들이 이미 자산형성을 위해서 정부에서 주도한 ‘청년희망적금’에 가입해서 납입을 하고 있을 것이다.
그렇다면 이번 도약계좌와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?
- 월 최대 납입액이 50만 원에서 70만 원으로 증액
- 납입기간이 2년에서 5년으로 3년 증가
- 만기 예상액이 1,200만원에서 5,000만 원으로 증가
- 청년개인소득만 낮다면 모두 가입 가능했던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가구소득까지 확인하기 때문에 부모의 소득이 높으면 가입이 불가
📌당신이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들
청년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신청조건 8가지 및 신청방법 한도 금리